2024년 열대야 시기와, 열대야 현상, 열대야 판단하는 기준, 극복 방법

2024 열대야 시기 판단방법 열대야 극복
2024 열대야 시기 판단방법 열대야 극복

무더운 낮을 견디고 나면 그래도 밤에는 상대적으로 시원한 공기를 만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밤에도 더위가 지속되는 경우가 있는 데 이를 열대야라고 합니다. 2024년 열대야 시기와, 열대야 현상, 열대야 판단하는 기준, 극복 방법 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열대야 현상이란?

열대야는 시원해져야 하는 밤에도 기온이 높게 유지되어, 사람들에게 불쾌함을 주고 불편함을 주는 기상현상을 말합니다. 여름철이라고 무조건 열대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여름철의 일부 기간동안에만 열대야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열대야현상은 낮동안 축적된 열이 밤에도 방출되지 않아 기온이 떨어져야 하는 밤에도 높게 유지됨으로서 발생하게 됩니다.

산과 나무가 많이 없고, 건물이나 빌딩으로 둘러싸인 도심지에서 열대야 현상이 많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은 도심의 건물과 도로가 낮 동안 열을 흡수하고, 밤에 이 열을 방출하면서 기온을 높게 유지시키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열대야를 판단하는 기준

열대야는 사람이 느끼는 불쾌함의 온도 기준으로 판단되게 됩니다. 열대야는 기상청에서 정의를 할 때, 통상적으로 오후 6시부터 다음날 오전 9시까지의 최저기온이 25도 이상일 때를 열대야라고 정의합니다.

이 기준은 전 세계적으로 거의 비슷하며, 기온이 높아진 여름철에 발생하게 됩니다. 열대야는 낮동안 축적된 열이 밤동안 방출되는 것을 제한하는 요인들 때문에 발생하게 되는 데, 습도가 높은 경우에도 이와 같은 열대야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열대야가 발생하는 시기

우리나라에서 열대야는 주로 여름철 한창 무더울 때 발생하게 됩니다. 주로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 기간동안 열대야가 발생하며, 국지적으로 날씨 이상현상으로 열대야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여름철의 더위가 절정에 달하게 되며, 낮 기온은 통상적으로 30도가 넘게 되고, 밤 기온도 25도 이하로 떨어지지 않게 됩니다.

최근에는 환경오염으로 인한 기후변화로 지구 전체의 온도가 상승하였기 때문에, 열대야가 발생하는 빈도와 기간은 늘어나고 있으며, 노약자나 심신이 허약한 분들은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게 됩니다.

2024년 열대야 시기

우리나라에서는 앞서 말한 것과 같이 보통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사이에 가장 많은 열대야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올해는 기상변화로 인해 이보다 빠르게 시작하고, 늦게까지 열대야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올해에는 6월 11일에 강원도 강릉에서 첫 열대야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작년에는 6월 16일의 양양이 전국 첫 열대야를 기록하고, 같은 해 강릉에서는 6월 28일에 첫 열대야 현상이 발생하였었습니다.

이와 같은 동해안 지방에서 열대야 현상이 빠르게 나타나는 것은 온열기후가 동해안으로 가장 먼저 이르기 때문이고, 중부지방이나 서쪽으로는 태백산맥이 그 사이를 막고 있어서,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과 영남지방에는 이보다 늦은 시기에 열대야 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열대야를 극복하는 방법

열대야가 지속되는 경우 수면의 질이 떨어져서 수면부족과 피로누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여름철에는 건강관리를 필수적으로 조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1. 실내 온도 조절
    • 에어컨이나 선풍기를 적절히 사용하여 실내를 적절온도로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낮은 온도로 유지하면 오히려 건강에 좋지 않으니, 24~27도의 실내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2. 적절한 수분 섭취
    • 열대야가 발생하면 몸의 열이 빠져나가기 어려워서 수분부족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물을 충분히 마시고, 체온조절에 각별히 유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차가운 샤워
    • 너무 찬 물로 샤워를 하는 것은 몸에 좋지 않지만, 적당히 차가운 물로 샤워를 하게 되면 몸의 체온을 효과적으로 조절 할 수 있습니다. 쾌적한 잠자리를 위해 자기 전 샤워를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4. 통풍이 잘 되는 침구 사용
    • 면이나 린넨 소재의 통기성이 좋은 침구를 사용하면 땀을 잘 흡수하고 배출하여 쾌적한 수면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