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 중개수수료의 경우 부가세가 붙는 지, 현금영수증이 발행 되는 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중개인에게 모두 맡기기보다는 미리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5 부동산 중개수수료 및 부가세, 현금영수증 발행, 중개인이 간이사업자인 경우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ontents
부동산 중개수수료와 부가세
부동산 중개수수료는 부동산 거래 시 중개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대가로 지급됩니다. 이 수수료에는 부가가치세(VAT) 10%가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부동산 중개수수료가 300만 원이라면 부가세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중개수수료: 300만 원
- 부가세: 300만 원 × 10% = 30만 원
- 최종 지불 금액: 330만 원
부가세는 중개업자가 일반사업자인 경우, 간이사업자인 경우에 모두 적용되며, 그 요율이 차이가 있습니다.
- 일반사업자 부가세 : 10%
- 간이사업자 부가세 : 4%
일반사업자와 간이사업자의 차이
일반사업자와 간이사업자의 가장 큰 차이는 부가세 신고 및 징수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부동산 거래 시 수수료 부담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일반사업자와 간이사업자를 나누는 기준은 매출차이가 있습니다. 매출이 8천만원 이상인 경우 일반사업자로 분류하며, 그 이하인 경우에는 간이사업자로 분류합니다.
간이사업자의 경우 2025년부터 1억 4백만원까지 간이과세자로 분류됩니다.
구분 | 일반사업자 | 간이사업자2 | 간이사업자1 |
---|---|---|---|
부가세 적용 여부 | 부가세 10% 부과 | 부가세 4% 부과 | 부가세 4% 부과 |
세금계산서 발행 여부 | 세금계산서 발행 가능 | 세금계산서 발행 가능 | 세금계산서 발행 불가 |
현금영수증 발행 여부 | 의무 발행 | 의무 발행 | 의무 발행 |
사업자 규모 | 연 매출 8천만 원 초과 | 연 매출 4800만원이상 1억 4백만원 이하 | 연 매출 4800만원이하 |
- 거래 전 해당 중개업자가 일반사업자인지 간이사업자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금영수증 발급 가이드
부동산 중개수수료를 지급한 후, 현금영수증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이는 세금 공제를 받을 수 있는 중요한 증빙 자료로 사용됩니다.
현금영수증 발급 방법
- 중개업소에 요청: 중개수수료를 지급한 후, 중개업소에 현금영수증 발급을 요청하세요.
- 발급 시점 확인: 현금영수증은 수수료를 지급한 당일 또는 일정 기간 내에 발급해야 합니다.
- 발급 정보 제공: 개인은 주민등록번호, 법인은 사업자등록번호를 제공하면 됩니다.
현금영수증 미발급 시

- 중개업자가 현금영수증 발급 요청을 거부하거나 누락한 경우, 국세청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 신고 시 중개업자는 과태료를 부과받을 수 있습니다.
세금 공제 혜택:
- 연말정산 시 현금영수증 사용 금액을 소득 공제 항목으로 신고할 수 있습니다.
- 특히, 총급여 7천만 원 이하 근로자의 경우 공제 혜택이 더 큽니다.
중개수수료 관련 위반 시 조치 사항
부동산 중개업자는 법적으로 정해진 기준과 의무를 준수해야 하며, 이를 위반할 경우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주요 위반 사례와 조치
- 중개수수료 과다 청구
- 법정 요율 초과 청구 시, 초과 금액에 대해 환불 명령이 내려지며, 벌금이 부과됩니다.
- 위반시 1년이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 부가세 누락 또는 부당 청구
- 일반사업자가 부가세를 청구하지 않거나 간이사업자가 부당하게 부가세를 청구한 경우, 세무 당국의 조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현금영수증 미발급
- 현금영수증 의무 발급을 거부한 경우, 중개업소는 미발급한 중개보수료의 50%의 과태료를 부과받습니다.
- 현금영수증이 미발급된 중개보수료가 100만원인 경우 50만원의 과태료가 발생하게 됩니다.
- 사업자 정보 미공개
- 중개업소의 사업자 유형(일반/간이)을 명확히 고지하지 않은 경우, 소비자가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이 경우 공정거래위원회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신고 가능합니다.
결론
부동산 중개수수료와 부가세는 거래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입니다. 일반사업자와 간이사업자의 차이를 이해하고, 현금영수증 발급 및 법적 요율 준수를 확인하여 안전한 거래를 진행하세요. 위반 사례를 접한 경우 적극적으로 신고하여 부동산 시장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동참합시다.